초보주부도 쉬운 꿀팁64 교육학 - 교육사 학습의 목적과 접근방법 교육사란, 교육의 역사에 관한 지식으로 교육사학은 그것을 다루는 학문영역이다. 교육사는, 교육학의 전체 체계 안에서 교육철학과 더불어 교육의 개념과 발생, 전개 과정 등을 이해하는 데 매우 중요한 자리를 차지하고 있다. 교육사를 공부하는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먼저, 교육의 역사에 대한 사실적 지식을 구하기 위한 것이다. 이 말은, 교육이 언제부터 시작되었으며 어떻게 발생하여 어떤 전개 과정을 거쳐 오늘날까지 이르렀는지에 대한 사실적 지식의 추적은 그 자체로 매우 의미 있는 활동이다. 교육사와 관련된 사실적 지식을 구하는 질문들에는 '사람들은 왜 후대를 가르치게 되었는가?' , '특정한 공간에서 훈련된 교사에 의하여 가르치게 된 것은 언제부터인가?', '교육에서 책이 사용된 것은 언제부터인가?', '.. 2022. 12. 14. 교육학 - 서양의 전통적교육(2)중세,르네상스 서양의 중세는 4~5세기부터 14~15세기까지의 약 1,000년에 해당하는 기간을 의미한다. 서로마제국이 붕괴하는 시기에서 동로마제국의 붕괴까지를 의미하기도 하며, 313년 기독교 공인 이후 십자군 전쟁을 거쳐 14세기 이탈리아 르네상스가 시작되는 시점을 포괄하기도 한다. 이 시기는 발트해 연안의 게르만족이 훈족의 침입과 농경지 부족을 해결하기 위해 서유럽 지역으로 이동하면서 봉건제도가 성립되는 것을 사회경제적 배경으로 한다. 또한 이 시기는 교황권이 절대적 지위를 차지하던 기간이기도 하다. 따라서 서양의 중세 시대에는 세속적이며 형식적인 교육의 발달보다는 기독교 교육기관을 중심으로 교육의 명맥을 유지하였다. 중세 초기의 교육기관으로는 수도원학교가 대표적이며, 교육은 수도사들을 중심으로 한 교육과 외부 .. 2022. 12. 12. 교육학 - 서양의 전통적 교육 서양 교육의 역사를 보면 고대 그리스시대와 로마 시대의 교육으로부터 시작되어 살펴본다. 그 당시의 문명과 발달한 교육이 현재의 서양 교육에 많은 영향을 주고 있기 때문이다. 서양의 전통적 교육은 주로 고대, 중세, 르네상스 및 종교개혁 세 가지 시대로 나뉜다. 먼저 고대 그리스의 교육은 서양 교육의 원류를 형성하였다고 할 수 있다. 당시 대표적 폴리스들인 아테네와 스파르타는 기본적 운영방식에서 대조를 이룬다. 아테네에서 초기에는 주로 김나지움(공공체육관)으로 불리던 장소를 중심으로 체육과 음악 등의 교육이 실시되었다. 이후 페르시아 전쟁이 일어난 기원전 5세기경을 전후로 신흥지식인층에 의한 학문 지식의 발달이 본격화되었다. 특히 소피스트(Sophist)로 불린 지식인층이 청년들의 교육에 관여하며 여러 교.. 2022. 12. 12. 교육학 - 교육의 내재적 목적과 외재적 목적 교육이란 가르치고 기르며 내재한 역량을 이끌어주는 것인데, 그렇다면 교육은 왜 해야 하며, 어떤 목적을 추구해야 하는가? 그리고 어떠한 목적성을 가지고 교육하는 교육학은 어떤 성격을 가진 학문인가? 이 두 가지 질문은 별개의 것이 아니다. 사람은 누구나 모종의 안경을 통해서 세계를 본다. 교육의 개념은 안경과 같아서 총체적 세계를 교육의 관점으로 볼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우리가 어떤 안경으로, 즉 어떤 개념을 가졌는지에 따라 교육의 관점에서 어떻게 인식하는지를 알 수 있다. 교육의 목적은 내재적 목적과 외재적 목적으로 나누어 볼 수 있는데, 먼저 내재적 목적은 교육의 개념과 논리적으로 관련되어 있고, 외재적 목적은 교육의 개념과 사실적으로 관련된 목적을 의미한다. 교육학이 가지고 있는.. 2022. 12. 9. 이전 1 ··· 12 13 14 15 1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