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초보주부도 쉬운 꿀팁64

평생교육 논의와 담론의 발전과정: 서구의 경험 서구에서 평생교육은 학교 교육제도 외부에서 주로 성인들을 대상으로 한 교육 실천에 뿌리를 두고 있다. 19세기 말부터 유럽을 중심으로 전개된 성인교육은 주로 농민, 노동자 등 학령기에 학교 교육으로부터 배제되었던 집단을 대상으로 삼았다. 덴마크의 목사이자 사회개혁가이던 그룬트비히(N. F S. Grundtvig, 1783~1872)가 시작한 국민대학(Folk High School)은 북유럽 전역에 영향을 미쳤다. 영국에서도 앨버트 맨스브리지(Albert Mansbridge)에 의한 1903년 노동자들을 위한 고등교육연합(Association to Promote the Higher Education of Working Men)이 1905년 노동자교육연합(Workers Educational Associati.. 2023. 6. 15.
평생학습과 생애경로 한평생을 살며 우리는 형식, 비형식, 무형식의 맥락을 횡적으로 가로지르며 학습한다. 또 우리는 요람에서부터 무덤에 이르는 인생의 종적인 과정을 관통하며 학습한다. 이런 학습의 종적인 측면과 횡적인 측면을 포괄하는 용어가 평생학습이다. 평생학습에서 '평생'은 곧 '삶 전체'를 의미한다. 이는 삶과 학습의 긴밀한 관계를 나타낸다. 한 인간이 어떤 학습을, 어디에서, 어떻게, 왜 하는가, 그리고 그 학습의 결과가 무엇인가를 탐색한다면 우리는 그 사람의 생애의 중요한 한 측면을 알 수 있을 것이다. 학습은 학교 등 형식교육 장면에서 일어나기도 하지만 학습자가 전혀 예기치 않은 시간과 장소에서 뜻밖의 사건으로 경험되기도 한다. 때로는 이런 예기치 않은 학습이 우리의 생애에 더 큰 영향을 미치기도 한다. 애플컴퓨터.. 2023. 6. 12.
교육과정의 과제와 전망 우리나라에서 교육과정을 연구하는 것은 대체로 실제적인 연구 개발을 하는 것과 보다 이론적인 연구를 수행하는 것으로 나뉜다. 이와 같은 일에 종사하는 이들은 모두 학교 교육 과정학회 소속으로 정기적으로 학술발표를 갖는다. 교육과정 현상에 대한 이론적 연구는 주로 교육과정 재개념화와 이해로 명명되는데, 여기에서는 각종 인문학적, 신학적, 사회학적 방법을 동원하여 연구를 수행한다. 특히 교육과정 현실에 실천적으로 참여한 경험이 부족한 대학교수들이나 대학원생들은 교육과정 실제 모습이나 그 개선보다 이론적 이해를 추구하는 편이다. 실제적인 연구 개발은 주로 대학의 교수나 한국교육과정평가원, 한국직업능력개발원, 한국교육개발원, 한국교육학술정보원, 한국고용정보원 등에서 일하는 연구원들이 수행한다. 대학의 교수들은 대.. 2023. 6. 8.
교육과정의 개발 교육과정의 개발은 교실, 학교, 지역, 국가 등 다양한 수준에서 다양한 모습으로 진행된다. 이는 학교에서 가르치고 배울 거리를 다듬어 내는 일이다. 교육과정 개발모형은 그 대체적인 절차를 간결하게 도형화한 것이다. 모형은 교육과정 개발자들이 따라야 하는 체제를 제시하거나, 교육과정 개선의 과정에 포함되는 단계 혹은 요소들을 상세히 설명하는 틀로써 제시된다. 일반적으로 교육과정 개발에서 공통으로 취하는 단계는 요구분석, 목표 설정, 교육 경험 선정, 교육 경험 조직, 단원 구성, 모의 실행, 수정 및 보완, 본격 실행, 명가 및 개선이다. 타일러의 교육과정 개발모형은 체제적・합리적 처방모형으로 가장 널리 받아들여지는 것이다. 교육목표 설정, 교육 경험 선정과 조직, 교육목표에 따른 평가의 최소한의 절차와 .. 2023. 6.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