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학50

평생교육의 6대 영역 첫 번째로 기초문해 교육은 한글을 읽고 쓸 수 있도록 하는 문해 능력과 생활 속에서 직면한 문제를 해결하며 주어진 과업을 수행할 수 있는 문해 활용 능력을 개발하고 초등학력을 인증받을 수 있도록 지원하는 평생교육이다. 문해는 단순히 글을 읽고 쓰는 능력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변화하는 상황에 대응할 수 있는 문제해결력, 새로운 지식과 정보를 창출할 수 있는 능력 등을 포함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2008년 국립국어원이 전국의 19~79세 성인 1만 2,137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기초문해력 조사 결과, 약 1.7%는 글을 전혀 읽고 쓰지 못했으며, 5.3%는 문장 이해력이 크게 부족해 일상생활에서 필요한 업무를 처리하기 어려운 상태였다. 이를 토대로 하면 우리나라 성인 인구의 약 7%인 260여만 명은.. 2023. 6. 15.
우리나라 평생교육의 역사화 법제화 우리나라 평생교육의 뿌리는 사회교육이다. 우리나라에 사회교육이라는 개념은 조선 말기 일본에서 도입되었다. 사회교육에서 '사회'는 영어 society를 17세기 말 일본에서 번역한 용어이며, 이후 일본에서는 교육을 학교 교육, 가정교육, 사회교육으로 분류했다. 조선 말 개화파 지식인들이 애국계몽 운동을 위해 결성했던 대한자강회, 태극학회, 서북학회, 대한흥학회 등 각종 학회의 기관지와 당시 신문 기사 등은 일본의 이 분류를 받아들이며 국권 옹호와 민중계몽의 수단으로 사회교육을 사용하기 시작했다. 일본의 식민 지배시기에 접어들면서 사회교육은 조선총독부에서 황국신민 사상을 전파하는 도구로 활용된다. 조선총독부는 학무국에 사회교육과를 두고 국민정신, 사상선도, 계몽교화에 관한 사항 등을 다루었다. 그러나 일본의.. 2023. 6. 15.
평생교육 논의와 담론의 발전과정: 서구의 경험 서구에서 평생교육은 학교 교육제도 외부에서 주로 성인들을 대상으로 한 교육 실천에 뿌리를 두고 있다. 19세기 말부터 유럽을 중심으로 전개된 성인교육은 주로 농민, 노동자 등 학령기에 학교 교육으로부터 배제되었던 집단을 대상으로 삼았다. 덴마크의 목사이자 사회개혁가이던 그룬트비히(N. F S. Grundtvig, 1783~1872)가 시작한 국민대학(Folk High School)은 북유럽 전역에 영향을 미쳤다. 영국에서도 앨버트 맨스브리지(Albert Mansbridge)에 의한 1903년 노동자들을 위한 고등교육연합(Association to Promote the Higher Education of Working Men)이 1905년 노동자교육연합(Workers Educational Associati.. 2023. 6. 15.
평생학습과 생애경로 한평생을 살며 우리는 형식, 비형식, 무형식의 맥락을 횡적으로 가로지르며 학습한다. 또 우리는 요람에서부터 무덤에 이르는 인생의 종적인 과정을 관통하며 학습한다. 이런 학습의 종적인 측면과 횡적인 측면을 포괄하는 용어가 평생학습이다. 평생학습에서 '평생'은 곧 '삶 전체'를 의미한다. 이는 삶과 학습의 긴밀한 관계를 나타낸다. 한 인간이 어떤 학습을, 어디에서, 어떻게, 왜 하는가, 그리고 그 학습의 결과가 무엇인가를 탐색한다면 우리는 그 사람의 생애의 중요한 한 측면을 알 수 있을 것이다. 학습은 학교 등 형식교육 장면에서 일어나기도 하지만 학습자가 전혀 예기치 않은 시간과 장소에서 뜻밖의 사건으로 경험되기도 한다. 때로는 이런 예기치 않은 학습이 우리의 생애에 더 큰 영향을 미치기도 한다. 애플컴퓨터.. 2023. 6.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