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학50

교육의 효과에 대한 기능론적, 갈등론적 연구 개인의 사회이동에서 특히 우리의 관심사는 교육이 어느 정도 영향을 주느냐 하는 것이다. 실제 상승이동 과정에서 학교 교육이 얼마만큼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지를 살펴보기로 한다. 지위획득 모형 연구의 선구적 연구는 블로와 던컨(Blau & Duncan, 1967)의 '미국 직업구조'다. 그들이 지위획득 연구에서 밝히고자 한 질문은 다음과 같다. 출생조건은 이후의 지위에 어떻게 그리고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는가? 인생 주기의 한 단계에서 획득된 지위는 그것이 대물림받은 것이든 자신이 성취한 것이든 간에 다음 단계의 성공 가능성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는가? 그들은 직업 지위 획득을 결정하는 결정변수를 아버지의 교육, 아버지의 직업, 본인의 교육, 본인의 첫 번째 직업 경험의 네 가지로 파악하였다. 그들의 .. 2023. 6. 1.
학습자의 특성- 개인차와 학습(지능, 창의성) 동일한 발달단계에 있는 학습자라 해도 개인 간에는 학습성취에 차이가 있다. 이러한 차이는 학습 방법이라든가 부모의 관심 등 다양한 이유로 인해 나타날 수 있을 것이다. 개인차에 대한 연구는 이러한 이유 중에서 지능이나 창의성 혹은 사고 양식 등과 같은 학습자 개인 내부에 존재하는 요인을 탐구하는 것이다. 지능(intelligence)이란 인간의 지적 능력을 나타내는 대표적인 심리학적 개념이다. 일반적으로 학습자들의 학업성취에 차이가 생기는 가장 큰 요인은 학습자들의 능력 차이 때문이라고 받아들여지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능력의 구조에 대한 탐색은 효과적인 교육을 위한 가장 기초적인 연구로 인식되어 왔다. 인간의 지능은 일반요인(general factor: g 요인)과 특수요인(specific factor.. 2023. 6. 1.
학습자의 특성 - 인간 발달 학습자의 인지발달을 연구하고 이를 기초로 학습자의 학습 과정을 이해하는 데 매우 큰 공헌을 한 심리학자는 피아제(J. Piaget)다. 피아제는 평형화(equilibrium)와 도식(schema) 그리고 동화(assimilation)와 조절(accommodation)의 개념을 사용하여 인간의 인지발달 과정을 설명한다. 평형화란 인간이 생존하기 위하여 자신의 내부 구조를 일정하게 유지하려는 본능적인 경향성을 의미한다. 즉 목이 마르면 물을 마시는 것이나 피곤하면 잠을 자는 것 등은 생존을 위한 가장 본능적인 행위이며, 이는 신체의 평형화를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 피아제는 인간의 인지발달 역시 이러한 평형화의 기제를 따른다고 제안하였다. 인지발달에 있어 평형화의 욕구가 충족되어 구조화되고 조직화한 상태를 도.. 2023. 6. 1.
현대 교육철학의 탐구 주제2 도덕교육이 개인의 인격적 통합과 성숙에 관심을 가진다면, 시민교육은 서로 다른 인종적, 문화적, 종교적, 성적, 정치적 배경과 취향을 가진 사람들이 집단적, 개인적 이해관계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한 사회 내에서 함께 살아갈 수 있기 위해 갖추어야 할 덕목과 가치의 교육에 관심을 가진다. 고도의 경제성장과 함께 세계 각지로부터 유입된 이민자 문제와 원자적 개인주의가 지배적이던 1980년대 미국 사회에서는 서로 다른 배경을 가진 사람들에게 사회적 연대를 가능하게 하는 기초로써 합의에 따라 지지가 될 수 있는 공동의 신념, 즉 '공공성'의 개념과 그 가능성에 대한 논쟁이 시작되었다. 버츠(R. F. Butts)와 같이 강한 정치적 자유주의 입장을 취하는 이들은 정의, 평등, 권위, 참여, 자유, 다양성, 프라이.. 2023. 6.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