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학50 교수설계의 발전과 변화 교수 매체와 함께 교육공학을 구성하는 또 하나의 주요 분야는 교수설계다. 교수설계(instructional design)는 학습자의 지식과 기능에 원하는 변화를 일으킬 수 있도록 최적의 교수 방법을 처방하는 것을 목적으로 교수활동의 과정과 교수 방법을 이해하고 개선하려는 분야다. 또한 교수-학습 과정의 문제를 진단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과정을 계획하며, 그 결과를 평가하는 체제적 절차를 의미하기도 한다. 가장 보편적인 의미의 교수설계는 의도한 학습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과학적으로 입증된 교수-학습 이론과 원리를 적용하여 효과적인 수업이나 단원을 개발하고 실행하는 체제적인 방법을 가리킨다. 1920년대 이전에는 과학적, 실증적 방법에 의한 원리 규명 움직임 일어났다. 교수설계 분야의 발전은 교육, 특.. 2023. 5. 22. 교육공학의 발전과 변화 교육공학의 역사는 크게 교수 매체 분야의 발전과 교수설계 분야의 발전으로 나누어 설명할 수 있다. 이 두 분야의 커다란 발전과 변화는 동일한 역사적 상황을 배경으로 이루어졌음에도 불구하고, 서로가 서로에게 영향을 미치며 맞물려 전개되었다기보다는 분야별로 다분히 독립적인 발전과 변화의 양상을 보인다. 교수 매체의 발전과 변화를 이야기하기 위해서는 먼저 교수 매체란 무엇을 의미하는지 알아볼 필요가 있다. 매체(medium)란 사이(between)를 의미하는 라틴어 'medius'에서 유래되었으며, 송신자와 수신자 사이에서 정보를 전달하는 커뮤니케이션 수단을 일컫는다. 교수 매체란 특히 교수-학습 과정에서 교수 목표의 달성을 위해 학습자와 교수자 사이에 이루어지는 상호 교류 및 정보 전달에 사용되는 인적•물적.. 2023. 5. 22. 교육공학의 개념 및 정의 교육공학이라는 분야의 성격은 다른 분야에 비해 상대적으로 애매모호하며 무어라 한마디로 딱 잘라 규정하기 어렵다. 흔히 '교육공학(educational technology)'이라는 명칭이 '교육(education)'과 '공학(technology)'의 두 단어의 합성어라는 점에 착안하여 교육을 위해 첨단기계나 공학적인 기술을 적용하는 부야 정도로 이해하기도 한다. 그러나 이는 engineering과 technology의 차이를 간과한 매우 피상적이고 부정확한 시각이다. 물론 컴퓨터와 커뮤니케이션 등 공학적 기술의 발달이 교육공학이라는 분야의 탄생과 발전에 지대한 공헌을 끼친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교육공학을 단순히 이러한 하드웨어적인 측면에 국한되는 학문으로 보는 것은 잘못이다. 그보다는 오히려 당면한 문제.. 2023. 5. 22. 교육평가의 유형(교수・학습, 참고준거에 따른 평가) 병원을 찾게 되면 의사는 환자에게 아픈 곳에 대한 증상을 묻고 진찰과 검사를 한다. 그리고 병의 상태를 설명하며 약을 처방한 후 2~3일 뒤에 다시 오라고 한다. 이후에 다시 진료받으러 가면 환자의 상태를 진찰하고 완쾌되었다고 하거나 혹은 한 번 더 오라고 한다. 이와 같은 환자의 치료과정을 보면 의사의 평가는 처음 환자가 왔을 때, 처방・치료를 실시할 때, 치료가 끝났을 때의 세 단계의 평가로 나눌 수 있다. 교육평가도 이와 유사한 단계를 거치게 되는데, 각 단계에서 이루어지는 평가를 진단평가, 형성평가, 총합 평가라 한다. 의사가 처방을 위하여 환자에게 질문하고 진찰을 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교사도 교수・학습을 시작하기 전에 학생의 학습에 대한 심리상태와 무엇을 얼마만큼 알고 있는가를 파악해야 할 필요.. 2023. 5. 11. 이전 1 ··· 4 5 6 7 8 9 10 ··· 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