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보주부도 쉬운 꿀팁64 교육평등의 원리 다양한 원리에 비추어 교육 평등이 무엇인가는 여러 가지로 논의될 수 있다. 먼저 첫 번째로 '공정한 경쟁의 원리'이다. 자유주의에서 평등이란 '공정한 경쟁'을 의미한다. 평등의 관점에서 교육 평등은 공정한 경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교육의 기회를 모든 사람에게 균등하게 주는 것을 의미하며 이것을 교육의 기회균등 원리라 할 수 있다. 이 원리는 기능주의 이론에서 매우 중요한데, 기능주의적 관점에서 중요한 교육의 기능은 선발이며 이는 능력에 따라 이루어지고 선발되게 된다. 능력에 따라 선발되고 사회적 지위와 보상이 분배되기 때문에 그 결과로 생기는 사회 불평등은 정당하다고 할 수 있다. 한명은 붙고 한명은 떨어지는 시험을 줬다고 했을 때, 선발된 사람이 외모, 백인, 남성, 명문 대학 출신, 특정 지역 출신.. 2023. 2. 22. 교육의 사회적 기능 - 갈등론적 관점 기본적인 사회 이념과 가치와 신념에 대한 사회 구성원 간의 합의를 전제하고 있는 기능주의와 달리 갈등이론에서는 사회 이념과 가치, 신념에 대한 사회 구성원 간, 사회집단 간의 합의를 부정한다. 합의가 되어 있다고 한다면 그것은 조작된 합의에 불과하다고 생각하며 사회집단은 상반된 사회 이념이나 가치를 지향하고 있어 서로 대립하고 갈등을 빚게 된다고 보고 있다. 사회집단 간의 갈등을 중시하는 관점인 갈등론적 관점의 이론은 하나가 아니라 다양한데, 여러 흐름에 따라 갈등의 근원을 다르게 파악한다. 마르크스적 갈등이론에서는 계급 간의 갈등을 모든 사회집단의 갈등 원천이라 보지만, 베버적 갈등이론에서는 부의 권력 및 지위를 둘러싼 집단 간의 갈등을 중시한다. 마르크스적 관점에서는 학교 교육의 기능이 지배집단의 신.. 2023. 2. 11. 교육의 사회적 기능 - 기능주의적 관점 현상 유지와 사회질서, 합의와 사회적 통합에 주요 관심을 가지는 기능주의적 관점은 어떻게 사회의 유지 및 존속이 가능한지에 대해 체계적인 설명을 제공한다. 근대적 모습의 기능주의 이론의 발전은 인류학자들의 연구로부터 강한 영향을 받았다. 브라운(R. Brown)과 말리노프스키(B. Malinowski)는 사회의 목적은 사회질서와 사회안정의 유지이며, 사회의 여러 부분의 기능과 그들이 조직된 방식인 사회구조는 이 질서와 안정을 유지하려 한다고 주장하였고 이러한 구조기능주의가 더욱 세련되게 발전한 것이 규범적 기능주의다. 사회 속의 다수 사람에 의해 공유되는 공동의 가치 또는 규범의 존재에 의해 성취된다는 생각에 근거하며 구조보다 규범을 강조하고 있기 때문에 규범적 기능주의라 부르게 되었다. 기능주의 사회학.. 2023. 2. 9. 교육학 - 20세기 후반의 교육철학 사조 20세기 후반에는 진보주의와 본질주의의 싸움이 약화하고 교육 철학적 방법론에 대한 다양한 실험이 시도된 시기였다. 당시 교육철학의 흐름은 연구 방법과 담론의 정확성에 집중하며 교육철학을 자율적인 학문으로 성립시키는 데에 공헌한 분석철학과 사회적, 정치적 문제에 관심을 가지고 큰 맥락 하에서의 교육의 문제 및 교육 철학적 작업의 사회 관련성에 관심을 가진 교육철학으로 구분된다. 특히 분석철학 이후의 교육철학은 교육적 분석의 생산성을 위해 교육적 의미체계를 설명하고 해석하는 다양한 질적 방법론뿐 아니라 다양한 학문적 접근과의 학제적 융합에도 개방적인 시기였다. 먼저 분석적 교육철학은 영미 교육 철학계의 주도적 흐름을 1950년대 중반부터 장악하기 시작하여 1960년대에 전성기를 누리다가 1980년대에 이르러.. 2023. 2. 7. 이전 1 ··· 10 11 12 13 14 15 1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