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학50 교육학 - 한국의 전통적 교육2(조선시대) 조선시대에는 불교를 억제하고 유교를 숭상한다는 뜻의 '억불숭유'정책에 기반을 둔 조선 초기 정책이 일관되게 유지되었다. 유교가 여러 정책이나 사상을 지배하고 있어 유교적 원칙과 이념을 실현하고자 하는 노력이 매우 강하게 부각되던 시기였다. 조선시대의 교육제도는 관학, 사학, 선발제도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 조선시대 교육제도의 틀은 크게는 고려시대의 것을 계승하였으나 그보다 발전한 제도를 가지고 있다. 먼저 관학으로는 성균관, 4학, 향교 등이 있었으며 왕실 교육기관과 기술을 가르치는 잡학 교육기관들도 있었다. 조선시대의 대표적인 국립 교육기관은 성균관으로 학문을 갈고닦는 강학활동과 더불어 각종 의례가 행해지던 공간이었다. 성균관은 생원, 진사를 원칙으로 입학 자격이 주어졌고, 정원은 200명이었다. .. 2022. 12. 20. 교육학 - 한국의 전통적 교육(삼국시대~고려) 우리나라의 교육사를 볼 때 주목되는 것은 '단절성'이다. 서양의 교육사는 고대와 중세, 근대까지 이어져 교육의 전통이 연속성을 유지해 왔지만,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19세기 말 이후 급격한 단절을 경험했다는 점에서 서양의 교육사와 큰 차이점이 있다. 우리나라는 19세기 말 이후 서양의 교육 이념과 제도가 우리나라의 전통적 교육의 이념과 제도를 대체하게 되는 큰 변화가 있었다. 그렇기 때문에 전통적 교육에서 계승할 것들과 현대적 교육의 요소들을 조화롭게 취하여 우리 교육의 정체성을 역사적 관점에서 재조명하고 이해하기 위한 노력이 절실하게 요구된다. 한국교육의 역사는 삼국시대부터 그 모습을 볼 수 있다. 한자와 유교의 도입은 제도적 교육의 성립에 큰 역할을 하였다. 교육에 영향을 준 사상적 원류는 불교, 도교.. 2022. 12. 16. 교육학 - 교육사 학습의 목적과 접근방법 교육사란, 교육의 역사에 관한 지식으로 교육사학은 그것을 다루는 학문영역이다. 교육사는, 교육학의 전체 체계 안에서 교육철학과 더불어 교육의 개념과 발생, 전개 과정 등을 이해하는 데 매우 중요한 자리를 차지하고 있다. 교육사를 공부하는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먼저, 교육의 역사에 대한 사실적 지식을 구하기 위한 것이다. 이 말은, 교육이 언제부터 시작되었으며 어떻게 발생하여 어떤 전개 과정을 거쳐 오늘날까지 이르렀는지에 대한 사실적 지식의 추적은 그 자체로 매우 의미 있는 활동이다. 교육사와 관련된 사실적 지식을 구하는 질문들에는 '사람들은 왜 후대를 가르치게 되었는가?' , '특정한 공간에서 훈련된 교사에 의하여 가르치게 된 것은 언제부터인가?', '교육에서 책이 사용된 것은 언제부터인가?', '.. 2022. 12. 14. 교육학 - 서양의 전통적교육(2)중세,르네상스 서양의 중세는 4~5세기부터 14~15세기까지의 약 1,000년에 해당하는 기간을 의미한다. 서로마제국이 붕괴하는 시기에서 동로마제국의 붕괴까지를 의미하기도 하며, 313년 기독교 공인 이후 십자군 전쟁을 거쳐 14세기 이탈리아 르네상스가 시작되는 시점을 포괄하기도 한다. 이 시기는 발트해 연안의 게르만족이 훈족의 침입과 농경지 부족을 해결하기 위해 서유럽 지역으로 이동하면서 봉건제도가 성립되는 것을 사회경제적 배경으로 한다. 또한 이 시기는 교황권이 절대적 지위를 차지하던 기간이기도 하다. 따라서 서양의 중세 시대에는 세속적이며 형식적인 교육의 발달보다는 기독교 교육기관을 중심으로 교육의 명맥을 유지하였다. 중세 초기의 교육기관으로는 수도원학교가 대표적이며, 교육은 수도사들을 중심으로 한 교육과 외부 .. 2022. 12. 12. 이전 1 ··· 8 9 10 11 12 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