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의 학습은 일생을 두고 일어난다. 임신 중 태교, 유아기의 돌봄과 놀이, 학교의 교육과 학습, 직장의 직업 훈련과 교육, 사회교육 기관의 성인교육, 노인 교육 등 출생에서부터 죽음에 이르도록 인간의 학습은 평생 계속된다. 교육은 학습자가 상대적으로 변화 가능성이 높은 특정 시기에 이루어지는 학습의 특수한 형태로, 기본적으로 교수의 도움을 전제로 하는 개념이다. 교육은 매우 의도적인 인간의 활동이며 일정한 목적이 있는 사업이다. 교육의 가장 큰 특징은 교수와 학습자가 동시에 존재하며 그들이 상호작용을 하는 것이다. 교육이 정치, 경제, 문화와 같이 현상을 지칭하는 개념이라면, 학교는 의회, 기업, 미술관 등과 같이 실지로 이를 수행하는 제도적 기관이다. 학교와 같은 교육기관이나 교수와 학습자가 만나는 교육 상황에서 교육은 '사회 속 학습자의 잠재력을 찾아 더 나은 배움과 삶을 열어 주기 위한 교수의 배려와 활동'이다. 교육과정은 학교 교육을 효율적으로 진행하고 그 효과를 높이는 수단이다. 교육과정은 '사회 속의 학습자들이 자기 잠재력을 찾고 더 나은 배움과 더 나은 삶을 열어가기 위해서는 무엇을 가르치고 배우면 좋을까를 묻고, 이에 대해 심사숙고하여 답하고 계획하며, 이를 전문적으로 실천하고, 질 높은 성과를 노리는 총체적인 과정'이라고 볼 수 있다. 교육은 학교에서만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며 교육이 있는 곳이라면 어디나 그 과정이 효율적・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도와주는 모종의 교육과정이 있다. 특히 학교 교육은 대체로 초반에는 기초 기본교육을 충실히 책임 교육하는 것과 이어서 심화・특수・전문분야의 교육을 학습자의 적성과 사회적 진로에 따라 알맞게 교육하는 맞춤형 교육으로 이루어져 있다. 전자는 어떠한 차이에도 불구하고 모든 학습자 집단에 공통된 것을 가르치고 후자는 각 집단의 차이에 따라 다르게 가르친다. 교육과정은 교육의 일부로써 교육목적을 구체적으로 구현하는 수단이며, 교육과정과 활동 계획이며, 교수와 학습자가 만나서 주고받는 그 무엇이기도 하며, 계획의 반성적 실천이자 계속된 개선과정이다. 모든 탐구 분야는 독특하면서도 가장 기본적인 질문을 갖는다. 앞의 교육에 대한 개념 규정에 따르면, 교육과정의 가장 기본적인 질문은 '무엇을 가르치고 배울 것인가?'이다. 학교와 같은 교육기관이나 교수와 학습자가 만나는 교육 상황에서 학습자의 더 나은 배움과 삶을 열어 주기 위함이다. 교육과정 실제를 이론적으로 탐구하는 교육과정학의 탐구는 기본적으로 현재의 교육과정에 대한 비판적 이해(critical understanding)와 보다 바람직한 미래 교육과정에 대한 창의적 개발(creative development)을 중심으로 한다. 교육과정학의 가장 큰 특징은 교육과정 현실에 대한 비판과 교육과정의 미래 창출(critical and creative curriculum)이다. 현재 가르치고 있는 것 중에서 혹시 가르치지 않아도 될 만한 것은 없는가, 현재 가르치지 않아도 될 만한 것 때문에 마땅히 가르칠 만한 것을 빠뜨리고 있지는 않은가 등을 묻고 답하는 것이다. 이런 반성은 현행 교육과정, 즉 국가 교육과정 기준, 학교 교육과정, 개인이 속한 계열과 전공, 개인이 배우는 교과와 과목 및 단원 등 여러 수준에서의 유지와 변화(개선)로 귀결된다. 변화는 다시 부적절한 내용과 활동의 삭제・폐지, 기존의 것에서 축소・약화할 것, 확대・강화할 것을 찾고, 새로운 것으로 추가・신설할 것을 찾는 것을 의미한다. 흔히 말하는 교육과정 개정이란 바로 이런 다양한 차원의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다. 교육할 거리는 늘 이런 일거리를 달고 다닌다. 교육과정의 기본 질문에 대답하는 방식은 역사적으로 두 가지라고 할 수 있다. 하나의 방법은 구체적인 목표(objectives)와 내용(content)과 활동 목록을 직접적으로 보여 주면서 '이것을 가르치고 배워야 한다'고 하는 방식이다. 예컨대, 국가 교육과정 기준을 고시하거나, 가르칠 주요한 주제 목록을 제시하거나, 가르칠 내용 전체를 상세히 담은 교과서와 같은 교육용 자료를 개발해 제공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12~16년간의 학교 교육을 통해 무엇을 가르치고 배우느냐에 대한 대답의 하나는 크게 모든 사람을 위한 기본 교양, 특정 분야나 집단 종사자들을 위한 주요 소양, 개인마다 대체할 수 없는 독특한 핵심 역량을 가르치고 배운다는 것이다. 즉, 초・중・고등교육을 통해 학업과 직업 세계의 전모를 학습자들에게 보여줄 수 있어야 그들의 학업 및 직업 진로의 인식과 결정에 도움이 될 것이다. 다른 하나의 방식은 가르치고 배울 만한 것이 이것이라고 목표나 내용으로 분명히 내보여 주지는 못하지만, 이러저러한 개발 과정(process), 원리(principles)와 절차(procedures)를 쓰면 그것을 결정할 수 있다고 제시하는 것이다. 흔히 교육과정 개발에 종사하는 학자들이 교육과정 개발 절차나 모형으로 제시해 온 것들이 그것이다. 교육과정을 학습하여 활용하기가 쉽지 않은 것은 교육과정 개발전략과 절차도 익히고, 나아가 그것을 사용하여 가르치고 배워야 할 내용과 활동을 정해서 이것이라고 보여 주어야 하기 때문이다. 교육의 역사나 교육과정 개발사를 살펴볼 때, 교과(학문), 학습자(개인), 사회는 교육과정을 결정하는 세 요소로 작용해 왔다. 이들 요소는 교육과정의 기본 성격을 결정하는 데 작용할 뿐만 아니라 여러 교육과정의 사조를 결정하며, 교육과정에 대한 여러 가지 정의나 개발 방식도 기본적으로 여기서 파생된다. 학습자의 연령, 학년이 올라감에 따라, 교과(학문)에 따라, 시대나 사회에 따라 세 요소가 미치는 영향의 정도는 달라진다. 대체로 20세기 이전에는 교과가, 그리고 진보주의 교육이 우세하였을 때는 학습자 또는 사회가 주된 축을 차지했다. 교육 과정학자들은 20세기 내내 대학과 학문 위주의 영향을 받은 교과 우위로부터 초・중등학교가 체계화됨에 따라 학습자와 사회의 요구를 교과 요구 못지않게, 때로는 그보다 중요하게 다루려고 노력해 왔다. 왜냐하면 교과 공부는 바람직한 인간과 소망하는 사회를 만드는 데 기여하는 수단이기 때문이다.
'교육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교육과정의 정의 및 기본적인 구분 (0) | 2023.06.03 |
---|---|
교육과정 결정의 세 요소 (0) | 2023.06.03 |
교육의 효과에 대한 기능론적, 갈등론적 연구 (0) | 2023.06.01 |
학습자의 특성- 개인차와 학습(지능, 창의성) (0) | 2023.06.01 |
학습자의 특성 - 인간 발달 (0) | 2023.06.0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