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과정 총론은 기관이나 학교 교육과정의 전체적인 목표, 교육과정의 총괄적 성격, 목표, 중점, 교과 편제, 시간 단위 배당 등을 수록한 문서에서 잘 드러나는 교육과정이다. 국가 교육과정 문서의 앞부분에 개괄적으로 제시된 전체 틀과 규정이 교육과정 총칙(general guidelines for school curriculum)의 가장 흔한 예다. 이것은 전국 학교 교육과정의 전체적 포괄성과 균형성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 이는 교과 교육과정뿐만 아니라 교과 외 활동에 관한 개괄도 포함하며 상호 균형을 기하고, 교과 교육과정을 총괄하면서 그들 사이의 균형을 유지하는 데 있어 매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보통 교육과정 전문가들이나 교육행정기관의 관리자들이 연구, 개발, 질 관리를 하는 영역이다. 개별 교과 교육과정을 단순히 합한다고 하여 전체성(totality), 균형성(balance), 유기적 통일성(coherene)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일반 교육과정으로써 교육과정 총론이 필요하다. 학교, 기업, 사회교육 기관의 교육과정을 구성하는 많은 프로그램이나 교과들은 뚜렷한 형식과 목적을 지니고 지식, 기술, 태도, 행동을 길러 주기 위해 제공된다는 점에서 넓게 보면 형식적 교육과정(formal curriculum)이라고 할 수 있다. 형식적 교육과정은 뚜렷한 목적과 방식 및 절차를 따라 이루어지고 엄정한 기준에 의해 그 성과가 평가되므로 과업 지향적(task-oriented)이다. 학교에서는 국어과, 수학과 교육과정과 같은 교과 교육과정이 형식적 교육과정의 특성을 띠는데, 교과 교육과정은 특정한 성격, 목표, 내용 체계, 탐구방식 등을 지닌다. 교과 교육목표의 설정, 내용의 선정과 조직 등은 바로 이 교육과정과 관련된다. 학교의 수업이 교과 교육과정을 구현하는 것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학교의 교육과정에서 가장 많은 분량과 비중을 차지한다. 교과 교육과정은 주로 대학의 관련 학과, 과 교육학회, 실천 중심의 현장 교사들에 의한 교과별 교사 모임에 의해 구체화하고 실천된다. 그 비중이 지나치면 교과에 포위된 교육, 교사 주도의, 시험 위주의, 결과 위주의 교육이 되기 쉽다. 그러므로 교과 외 활동 프로그램과 균형을 이루어야 한다. 교과 외(특별활동, 준 형식적) 교육과정은 각 존립 수준과 변화단계에서 볼 수 있는 인화 지향적인 교육과정이다. 형식적 교육과정이 지덕체, 지정의 부분에서 '지적으로 편향되기 쉬운 데 비해, 준 형식적 교육과정은 균형을 잡아 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 다른 측면은 여러 교과를 특정 목표나 주제로 통합해 준다. 기업체 등에서는 단합대회, 체육대회 등이, 학교에서는 '교과 외'로 제공되는 특별 활동(extra-curriculum), 재량활동, 특기·적성 교육활동, 학교 특성화 프로그램 등이 준 형식적 교육과정에 속한다. 여유로운 데서 오는 개인의 자유로운 발상과 창의력 및 소질을 계발하고, 기관에 공동체 문화를 구축하고 전수하는 것이 그 주된 목적이다. 준 형식적 교육과정은 개인과 사회의 요구를 반영한 것이어서 인화 지향적이고 사회 공동체 지향적이다. 행복하고 성공적인 개인과 조화로운 사회에 중요한 것들이 모두 형식적 혹은 교과 교육과정으로 수렴될 수는 없다. 처지에 따라 어떤 학생들에게는 교과 공부보다 더 절실하게 해결해야 할 문제들, 예를 들어 자기관리 능력이나 열등감 극복과 자신감 회복, 대인관계 능력 등이 있다. OECD의 핵심 역량이나 IB의 6개 교과 영역을 통합해주는 CAS(creativity, action, service), 호주 빅토리아주의 학습 영역 중 전통적 교과를 제외한 두 개의 학습 영역은 모두 준 형식적이다. 이 모두는 인간적・사회적으로 의의를 지닌 교육 프로그램이라고 할 수 있다. 변화단계에 따른 교육과정의 구분에서 교육과정 정책은 각 존립 수준과 구성 영역의 교육과정에 대한 각종 정책 결정 및 의사결정을 통해 영향을 미치는 단계다. 정책은 교실이나 학교 혹은 지역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에서 관리된다. 특히 교육과정 정책은 교육정책의 영향을 받는다. 이것은 보통 정치, 경제, 여타 사회 정책을 고려하여 이루어진다. 현행 교육과정에 대한 유지, 개선, 폐지, 새 교육과정의 신설과 추가 등을 결정하는 단계다. 이 단계에서는 각종 교육적 요구 중에서 수용할 것이 무엇인가에 대한 의사결정을 하게 된다. 이런 정책 결정은 이후에 기준의 연구 개발에서 평가, 개선에 이르는 후속 변화단계를 이끄는 데 큰 영향을 미친다. 교육과정 정책의 특성과 대상 확인, 교육과정 정책대안 수립의 절차와 방법, 교육과정 정책 실현 수단, 교육과정 정책의 실효성 평가 등이 이 단계와 관련된 연구 문제들이다. 교육과정 기준은 각 존립 수준에서 각 구성 영역의 교육과정 기준을 연구 개발하는 단계다. 현행 기준에 대한 평가와 개선, 기준 개발 절차의 수립, 기준 개발 참여자의 역할 분담과 협조, 기준의 장단기적 적합성, 기준의 전체 및 부분 적합성, 각종 요구분석과 교육목표 설정, 교육목표 수립의 원천과 원칙, 교육목표와 계획의 적절성, 교육목표의 표현, 다양한 수준의 교육목표 진술 등이 이에 속한다. 교육과정을 설계하여 그 틀을 짜고 시안을 심의하여 문서로 만들어 보급한다. 이 문서에는 어떤 교육목표를 통해 무슨 교육성과를 기대하며, 이를 만들어 내기 위해 어떤 과정과 절차를 밟으며, 궁극적으로 이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어떤 경영 관리와 평가가 필요한가에 대한 내용을 담게 된다. 교육과정 기준이 교육과정 교재를 만들기 위한 모본이라면 개략적일 수 있지만, 교사들이 수업을 구성하는 바탕이라면 적절히 구체적이어야 한다. 이러한 구체적인 교육과정 기준에는 교육계획을 위한 교과의 내용 기준, 교육 진행을 위한 학생과 교사의 활동 수행 기준, 교육 결과 평가를 위한 학생의 학업성취 기준 등이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국가 교육과정 기준의 연구 개발은 이 분야에서 중핵을 차지하고 있다. 교육과정 자료는 각 존립 수준과 구성 영역의 교육과정, 특히 교육과정 기준을 자료(materials)나 교재(texts)로 구체화하는 단계다. 교과서와 같은 주 교재와 이를 돕는 부교재를 생산하기 위해 각종 연구 개발한다. 각급 학교 교과의 교과서, 교과서와 관련된 교사용 지도서, 각종 보조교재, 국정・검정・인정 등의 교과서 발행제도, 교재의 심의 기준, 교과 특성을 반영한 다양한 표현양식의 교재, 교재 내용 체제, 교재 외형 체재, 교재 공급제도 등에서 교육과정의 모습을 보게 된다. 교육은 학습과 달리 면대면의 직접・집단적인 면이 많지만, 평생학습과 멀티미디어 시대에는 지식의 표현양식과 학습자의 학업 스타일 등에 따라 멀티미디어로 표현된 교재가 확대된다. 교육과정 경영은 각 존립 수준과 구성 영역의 교육과정이 질 높고 원활하게 운영될 수 있도록 하는 단계의 교육과정이다. 교육과정 경영의 대상, 경영의 원리와 절차 및 실태, 계획과 결과의 격차 확인, 경영의 장애와 촉진 요인 확인, 경영관리의 구체적 실현 과정, 방법, 수단 등을 통해 '경영으로써 교육과정'의 면모가 잘 드러난다. 개별 교사는 교실에서 교육과정을 실천한다. 또한 장학이나 학교 교육과정 개선 관련 교장의 리더십 연구에서 보듯이 학교의 장은 교육과정의 실천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그것을 경영한다. 교육과정은 단순히 외부에서 만들어 준 것을 적용하여 실행하는 것에서 벗어나 창의적으로 경영하는 것이 점차 중요해지고 있다. 지역 수준이나 국가 수준에서도 경영되고 실천되는 교육과정을 찾아볼 수 있다. 평가로써의 교육과정은 각 존립 수준과 구성 영역의 교육과정을 평가하고 이를 바탕으로 개선하는 단계에서 드러난다. 교육과정의 목표에 비추어 그 달성 여부를 평가하고 평가 결과를 반영하여 그 개선안을 제안하는 단계의 교육과정이다. 교육과정 평가의 대상 규명, 평가의 준거와 지표 개발, 교육과정 평가도구 개발, 교육과정 평가의 피드백을 통한 질 관리 방안 등을 통해 '평가로써 교육과정'의 면모는 드러난다. 가장 간단한 모습은 교육과정 계획(plan)의 평가, 교육과정 실행(process)의 평가, 교육과정 성과(product)의 평가로 이루어지며, 교육과정 계획의 평가는 상황(context) 평가와 투입(input) 평가로 구체화하기도 한다.
'교육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교육과정의 개발 (0) | 2023.06.08 |
---|---|
20세기 교육과정사 (0) | 2023.06.08 |
존립수준에 따른 교육과정의 구분 (0) | 2023.06.06 |
교육과정의 정의 및 기본적인 구분 (0) | 2023.06.03 |
교육과정 결정의 세 요소 (0) | 2023.06.03 |
댓글